국보제10호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정보 요약 오늘은 국보제10호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에 관련된 정보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국보의 위치는 전북 남원시이며 관리자는 백장암에서 하고 있습니다.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승석탑의 경우 1947/12/10 통일신라시대에 건축이 된 탑입니다. 특이하게 소유자는 백장암으로 되어 있습니다. 국보제10호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배경지식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이 있는 실상사는 지리산에 위치한 절로 흥덕왕때 만들어진 사찰이라고 합니다. 이곳에서 북쪽으로 가면 백장암이 나오는데 이는 실상사에 딸른 자그마한 암자로로서 그 아래 경작지가 있는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낮은 기단위로 3층탑을 올린 모습으로 각 탑신에는 조각과 특이양 양식의 수법..
오늘은 국보제9호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정보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국보의 위치는 충남 부여군이며 관리는 부여군에서 하고 있습니다. 국보제9호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은 1947/4/10 백제가 만든 탑이라 할 수 있는데요. 소유자는 국유라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보제9호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배경지식 오층석탑은 부여 정림사에 세워진 탑으로써 현재는 정림사는 사라지고 없고 탑만 남아있습니다. 좁고 낮은 1단 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을 세워 안정감을 주고 있는 탑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장수인 소정방이 이 탑에 기념탑이라고 작성을 해둬 우리나라 역사기록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익산 미륵사지 석탑과 함께 몇개 안되는 백제시대의 석탑이라는 점에서 귀중한 사료가 되는 석탑이라..
오늘은 국보제8호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에 관련된 정보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 낭혜화상탑비가 있는 위치는 충남 보령시이며 관리는 보령시에서 맡고 있습니다. 국보제8호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는 1963/12/10 통일신라에 선립이 되어 있는 탑비로 소유자는 국유라고 합니다. 국보제8호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배경지식 성주사터에 남아 있는 낭혜화상탑비는 승려 무염의 탑비라고 합니다. 낭혜화상은 무열왕 8세손으로 애장왕2년에 태어나 열 세살이 될때 출가하여 당나라로 유학을 간 인물로 수도를 통해 큰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고 하며 문성왕때 귀국해 오합사의 주지가 되었다고 합니다. 이 절에 낭혜화상은 수련을 통해 덕을 쌓아 해당 오합사가 더더욱 번창하게 되가 왕이 성주사라는 절을 만들어주고 그곳에..
오늘은 국보제7호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정보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 국보가 있는 위치는 충남 천안시이며 국보관리는 천안시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는 1962/12/20일 고려시대에 설립이 된 기록유산비라 할 수 있습니다. 소유자는 국유라고 합니다. 국보제7호 봉선홍경사 갈기비 배경지식 봉선홍경사는 고려 현종 12년에 창건이 되었다고 합니다. 절 이름 앞에 있는 봉선은 현종전 안중이 설립을 시작했지만 아쉽게도 완성을 못 보고 죽자 그 아들인 현종이 선조인 아버지의 뜻을 이어받기 위해 만든 절이라고 합니다. 갈기비는 일반적인 석비보다는 규모가 적은것을 말하는데요. 머릿돌이나 지붕돌을 따로 두지 않고 비몸에 있는 끝부분을 둥글게 처리하는것이 대부분이라 합니다. 하지만 국보제7호 ..
국보제6호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정보 요약 이번에는 국보제6호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에 관련된 내용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칠층석탑이 위치한 곳은 충북 충주시이며 관리자는 충주시라고 합니다.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은 1926/12/20 통일신라에 설립이 된 탑이라 할 수 있습니다. 소유자는 국가로 되어 있습니다. 국보제6호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배경지식 탑평리 칠층석탑은 남한강의 아름다운 경관에 잘 어울러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건축물인데요. 당시에 세웠던 석탑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고 있는데요. 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시작된 기단은 한 면마다 문양을 새겨두었는데요. 몸통을 덮고 있는 지붕 네쪽 끝에는 하늘을 향해 올라가있어 경쾌해보이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탑평리 칠층석탑은 기둥조각의 배치와 탑신..
오늘은 국보 제4호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에 관련된 정보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쌍사자 석등의 위치는 충북 보은군이며 관리자는 법주사에서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국보제5호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은 1962/12/20 통일신라때 설립이 된 석등으로 소유자는 법주사라고 합니다. 국보제4호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배경정보 쌍사자석등은 대웅전과 팔상전 그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석등이지만 통일신라때 만들어진 석등중 가장 독특하다 할 수 있습니다. 보통의 경우 팔각형의 윗돌과 아랫돌을 바치고 있는것이 대부분이라 할 수 있지만 쌍사자 석등의 경우 사자조각 두미라기 가슴을 붙이고 앞발과 입으로 윗돌을 지지하고 있으며 아랫돌은 뒷말로 디디고 서 있는 모습을 보여 특이한 석등이라 할 수 있..
국보제4호 여주 고달사지 승탑 정보 요약 오늘은 국가의 보물인 여주 고달사지 승탑에 관련된 정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주 고달사지 승탑의 위치는 경기도 여주시이며 관리는 여주시에서 한다고 합니다. 여주 고달사지 승탑은 1962년12월20일 고려시대에 설립된 탑으로써 소유자는 국유입니다. 국보제4호 여주 고달사지 승탑 배경지식 여주 고달사지 승탑은 고려시대에 승탑이라 할 수 있는데요. 고달사는 통일신라시대 경덕왕 23년에 창건이 되었다고 하네요. 신라시대에는 불교가 국교로 지정이 되어 있어 국가의 보호를 받는 사찰로 발전하게 되었는데요. 이런 고달사가 갑자기 사라지게 된 시기는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고 합니다. 절은 사라졌지만 그래도 이 승탑은 온전하게 남아져 있어 그 가치가 뛰어나다 할 수 있는..
국보제3호 서울 북한산 신라진흥왕 순수비 정보 요약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국보제3호 서울 북한산 신라진흥왕 순수비에 관련된 내용을 정리를 해보도록 하곗습니다. 신라진흥왕 순수비가 있는 위치는 서울 용산구이며 관리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관리를 한다고 합니다.신라진흥왕 순수비의 경우 1962년12년20일 신라에서 설립이 된 기록유산 및 비라 할 수 있는데요. 소유자는 국가로 되어 있습니다. 국보제3호 서울 북한산 신라진흥왕 순수비 배경지식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는 신라 진흥왕때 제작이 된 순수척경비라 할 수 있는데요. 이는 한강유역을 영토로 편입을 했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왕이 직접 해당 지역을 방문했다는 표시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훼손이 심해 경복궁에 있다가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고 합니다. 비..
국보제2호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정보 확인 오늘은 국보제2호로 등재가 되어 있는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에 관련된 포스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국보는 서울 종로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관리는 종로구청에서 관리를 한다고 하네요. 원각사지 십층석탑은 1962년12월20일 조선시대에 설립이 된 탑으로써 소유자는 국가로 되어 있습니다. 국보제2호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배경지식 십층석탑이 있던 원각사는 지금의 탑골공원에 있었다고 하네요. 조선시대에는 유교를 숭배하고 불교를 배척하던 시대였으나 원각사의 경우 중요사찰로 보호를 받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런 석탑을 남길 수 있었지 않았나 싶은데요. 또한 이 석탑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점은 이것입니다. 보통의 경우 조선시대에 석탑을 만드는데 일반 돌이 아닌..
- Total
- Today
- Yesterday
- 국보제3호 서울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 국보제5호 보은 법주사 쌍사자석등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 국보제4호 여주 고달사지 승탑
- 국보제1호 서울 숭례문
- 국보제7호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 국보제2호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 국보제6호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 국보제8호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국보제10호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